연구자료
[연구자료]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고립 실태 및 대응 방안 연구
<초록>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의 개념, 실태,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책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아직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고립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은 상황에서 아동·청소년기 사회적 고립 정책이 시작될 수 있도록 현황, 문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적 고립(social isolation)을 타인과의 관계가 거의 단절되어 있거나 스스로 고립되었다고 느끼는 상태로 정의하고, 문헌연구 등을 통해 아동·청소년기 사회적 고립의 개념, 특성, 영향요인, 측정방법, 발생추이를 검토하였다. 또한 면접조사와 관련 법정책 검토를 통해 사회적 고립 관련 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 및 발전방안, 법·정책적 근거의 한계 및 발전 방안 등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사회적 고립 대응을 위한 정책 비전을 설정하고, 4가지 원칙하에, 3개 영역 9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제안하는 정책 비전은 “아동·청소년기 사회적 고립에서 사회적 연결로”이며, 정책 도출을 위한 네 가지 원칙은 다양한 사회적 고립 스펙트럼 포괄 원칙, 아동청소년기 예방·조기 개입 원칙, 사회적 연결을 위한 심리사회경제적 지원 원칙, 고립화 과정에 대한 중장기적 개입 원칙 등이다. 이를 기반으로 세부 과제를 제시하여 정책 형성기에 있는 아동·청소년기 사회적 고립 정책 대응 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2024-10-24
조회수 4472